불새 (만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불새는 데즈카 오사무의 장편 만화 시리즈로, 여러 시대를 배경으로 불멸의 존재인 불새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1954년 연재를 시작하여 여러 편으로 구성되었으며, '여명편', '야마토편', '봉황편' 등 각 편은 독립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 작품은 과거, 현재, 미래를 넘나들며 인간의 삶과 죽음, 윤회를 주제로 다루며, 다양한 미디어로 제작되었다. 실사 영화, 애니메이션 영화, TV 시리즈, 게임 등으로 제작되었으며, 데즈카 오사무의 대표작으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작품 - 양귀비비사
양귀비가 당 현종의 후궁이 되어 귀비의 자리에 오르는 과정과 그를 둘러싼 인물들의 사랑, 욕망, 질투를 그린 드라마 《양귀비비사》는 양귀비, 당 현종, 이백 등의 관계를 중심으로 궁중 암투와 예술가의 면모를 다채롭게 보여준다. - 전설의 생물을 소재로 한 만화 - 퍼즐드라 (애니메이션)
타코야키 가게를 운영하는 소년 아카시 타이가가 드래곤 트라곤과 함께 퍼즐앤드래곤 프로게이머로 성장하는 과정을 그린 애니메이션 《퍼즐드라》는 모리시타 카즈키 원안, 카메가키 하지메 감독으로 2018년부터 방영되었으며, 만화, 관련 상품, 버라이어티 파트도 제작되었다.
불새 (만화) | |
---|---|
기본 정보 | |
![]() | |
장르 | 드라마 판타지 |
원제 | 火の鳥 (히노토리) |
로마자 표기 | Hi no Tori |
만화 (만화 소년) | |
제목 | 불새 (만화 소년) |
작가 | 데즈카 오사무 |
출판사 | 학동사 |
영어 출판사 | 비즈 미디어 |
잡지 | 만화 소년 |
연재 대상 | 소년 만화 |
첫 연재 | 1954년 7월 |
마지막 연재 | 1955년 5월 |
단행본 권수 | 1권 |
만화 (소녀 클럽) | |
제목 | 불새 (소녀 클럽) |
작가 | 데즈카 오사무 |
출판사 | 고단샤 |
영어 출판사 | 비즈 미디어 |
잡지 | 소녀 클럽 |
단행본 권수 | 1권 |
첫 연재 | 1956년 5월 |
마지막 연재 | 1957년 12월 |
만화 (COM) | |
종류 | 만화 |
작가 | 데즈카 오사무 |
출판사 | 무시 프로덕션 (1967–1973) 아사히 소노라마 (1976–1981) 카도카와 쇼텐 (1986–1988) |
영어 출판사 | 비즈 미디어 |
연재 대상 | 소년 만화 |
잡지 | COM (1967–1973) 만화 소년 (아사히 소노라마) (1976–1981) 야세이 지다이 (1986–1988) |
영어 잡지 | Pulp |
첫 연재 | 1967년 1월 |
마지막 연재 | 1988년 2월 |
단행본 권수 | 12권 |
만화 파트 | |
내용 | 새벽 (1967년 1월 – 11월) 미래 (1967년 12월 – 1968년 9월) 야마토 (1968년 9월 – 1969년 2월) 우주 (1969년 3월 – 7월) 업 (1969년 8월 – 1970년 9월) 부활 (1970년 10월 - 1971년 9월) 깃털옷 (1971년 10월) 향수 (1976년 9월 – 1978년 3월) 내란 (1978년 4월 – 1980년 7월) 생명 (1980년 8월 – 12월) 기이한 존재들 (1981년 1월 – 4월) 태양 (1986년 1월 – 1988년 2월) |
OVA | |
감독 | 린타로 (OVA 1) 히라타 도시 (OVA 2) 카와지리 요시아키 (OVA 3) |
제작 | 린타로 마루야마 마사오 이와세 야스히사 |
각본 | 곤파루 도모코 다카야시키 히데오 |
제작사 | 매드하우스 팀 아르고 프로젝트 |
출시일 | OVA 1: 업 (1986년 12월 20일) OVA 2: 야마토 (1987년 8월 1일) OVA 3: 우주 (1987년 12월 21일) |
음악 | 하야시 료타로 (2) 구마타니 고로 (2-3) 노나카 히로토시 (3) |
미술 | 니시무라 다이스케 마스모토 쇼이치로 |
캐릭터 디자인 | 마노 가쓰나리 고노하나 사쿠 |
제작 디자인 | 마노 가쓰나리 고노하나 사쿠 |
라디오 드라마 | |
원작 | 불새 새벽편, 미래편, 봉황편, 난세편 |
제작 | NHK 라디오 제1방송 |
방송국 | NHK 라디오 제1방송 |
프로그램 | 연속 라디오 소설 |
시작일 | 1977년 3월 21일 |
종료일 | 1980년 3월 21일 |
원작 | 불새 생명편 |
방송국 | 닛폰 방송 |
프로그램 | 데즈카 오사무의 올나이트 닛폰 스페셜 |
시작일 | 1987년 1월 1일 |
영화 (실사) | |
원작 | 불새 새벽편 |
감독 | 이치카와 곤 |
제작 | 불새 프로덕션 |
배급 | 도호 |
개봉일 | 1978년 8월 12일 |
상영 시간 | 137분 |
영화 (애니메이션) | |
제목 | 불새 2772 사랑의 코스모존 |
총감독 | 데즈카 오사무 |
감독 | 스기야마 다쿠 |
배급 | 도호 |
개봉일 | 1980년 3월 15일 |
상영 시간 | 122분 |
제목 | 불새 봉황편 |
원작 | 불새 봉황편 |
감독 | 린타로 |
제작 | 프로젝트 팀 아르고스 매드하우스 |
배급 | 도호 |
개봉일 | 1986년 12월 20일 |
상영 시간 | 60분 |
게임 | |
제목 | 불새 봉황편 아가오의 모험 |
장르 | 횡스크롤 액션 |
플랫폼 | 패밀리 컴퓨터 |
개발/배급 | 코나미 |
출시일 | 1987년 1월 4일 |
제목 | 불새 봉황편 |
장르 | 슈팅 게임 |
플랫폼 | MSX2 |
개발/배급 | 코나미 |
출시일 | 1987년 4월 5일 |
오디오 드라마 | |
제목 | 불새 영원한 생명 |
방송국 | 문화방송 |
시작일 | 1999년 10월 |
종료일 | 2000년 3월 |
TV 애니메이션 | |
원작 | 데즈카 오사무 |
감독 | 다카하시 료스케 |
각본 | 고부 후유시 (새벽편) 하세가와 게이이치 (부활편) 스기이 기사부로 (이형편) 노자키 도루 (태양편) 고바야시 히로토시 (미래편) |
캐릭터 디자인 | 스기노 아키오 우치다 유타카 니시다 마사요시 오시타 히사마 |
음악 | 우치이케 히데카즈 노미 유우지 |
제작사 | 데즈카 프로덕션 |
방송국 | NHK |
방송 시작일 | 2004년 4월 4일 |
방송 종료일 | 2004년 6월 27일 |
에피소드 수 | 13화 |
TV 애니메이션 (디즈니+) | |
제목 | 불새 에덴의 우주 |
원작 | 데즈카 오사무 "불새 향수편" |
감독 | 니시미 쇼지로 |
각본 | 마노 가쓰나리 기노하나 사쿠 |
캐릭터 디자인 | 니시다 다쓰미 |
음악 | 무라마쓰 다카츠구 |
제작사 | STUDIO 4℃ |
방송국 | Disney+ |
방송 시작일 | 2023년 9월 13일 |
기타 | 2023년 11월 3일부터 다른 엔딩 버전 "에덴의 꽃" 극장 개봉 |
2. 시리즈 구성
《불새》는 데즈카 오사무가 만화가로 활동하던 초기부터 만년까지 그렸던 작품으로, 데즈카 오사무 평생의 역작(力作)이라고 불리는 작품이다. 고대부터 미래까지, 지구와 우주를 배경으로 생명의 본질과 인간의 업에 대한 주제를 데즈카 오사무 자신의 독자적 사상을 바탕으로 장대한 스케일로 그려냈다. 이야기는 「불새」라는 새가 등장해 그 불새의 피를 마시면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설정을 바탕으로, 주인공들은 불새와 관련되어 고뇌하고, 괴로워하고, 싸우며, 잔혹한 운명 앞에 농락당한다.[2]
《불새》는 여러 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에피소드는 하나의 이야기로 완결된다. 1954년 학도사의 『만화소년』에 "여명편"이 처음 연재되었지만, 학도사의 도산으로 미완에 그쳤다. 1956년에는 잡지 『소녀클럽』에 "이집트편", "그리스편", "로마편"이 연재되었다. 1967년부터는 잡지 『COM』에서 새로운 구상으로 "여명편"을 비롯한 여러 에피소드들이 연재되었으나, 잡지 휴간으로 중단되었다. 1976년 『만화 소년』에서 "망향편" 등이 연재되었으나, 역시 잡지 휴간으로 중단되었다. 1986년에는 소설 잡지 『야성시대』에서 "태양편"이 연재되었다.
작품은 시간 순서대로 집필되지 않았고, 과거와 미래를 번갈아 가며 묘사하는 방식으로, 데즈카 오사무는 자신이 사망하는 순간 작품이 완결될 것이라고 구상했다.[37] 《불새》는 "미래편"의 마지막이 "여명편"으로 이어지는 순환 구조를 띄고 있어, 작품 자체가 윤회를 반복하는 듯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이 작품은 많은 만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으며, 여러 차례 영상화, 애니메이션화, 라디오 드라마화되었다.
2. 1. 본편 구성
《불새》는 여러 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에피소드는 하나의 이야기로 완결되기 때문에, 일부 단행본에서는 "제○권"이라고 하지 않고 "○○편"이라고만 표기했다.제목 | 원제 | 연재 잡지 | 비고 |
---|---|---|---|
여명편 | 黎明編 | 만화 소년 (1954년 7월호 ~ 1955년 5월호) | 미완. 《COM》에 재연재. |
COM (1967년 1월호 ~ 11월호) | |||
미래편 | 未来編 | COM (1967년 12월호 ~ 1968년 9월호) | |
야마토편 | ヤマト編 | COM (1968년 9월호 ~ 1969년 2월호) | |
우주편 | 宇宙編 | COM (1969년 3월호 ~ 7월호) | |
봉황편 | 鳳凰編 | COM (1969년 8월호 ~ 1970년 9월호) | |
부활편 | 復活編 | COM (1970년 10월호 ~ 1971년 9월호) | |
날개옷편 | 羽衣編 | COM (1971년 10월호) | |
망향편 | 望郷編 | COM (1971년 12월호), COM 코믹스 (1972년 1월호) | 《만화 소년》에 재연재. |
만화 소년 (1976년 9월호 ~ 1978년 3월호) | |||
난세편 | 乱世編 | COM (1973년 8월호) | 《만화 소년》에 재연재. |
만화 소년 (1978년 4월호 ~ 1980년 7월호) | |||
생명편 | 生命編 | 만화 소년 (1980년 8월호 ~ 12월호) | |
이형편 | 異形編 | 만화 소년 (1981년 1월호 ~ 4월호) | |
태양편 | 太陽編 | 야성 시대 (1986년 1월호 ~ 1988년 2월호) |
《불새》는 1954년 학도사의 『만화 소년』에 "여명편"이 처음 연재되었지만, 학도사의 도산으로 미완에 그쳤다. 1956년에는 『소녀클럽』에 "이집트편", "그리스편", "로마편"이 연재되었다. 1967년에는 『COM』에서 새로운 구상으로 "여명편"을 비롯해 "미래편", "야마토편", "우주편", "봉황편", "부활편", "날개옷편", "망향편", "난세편"이 연재되었으나, 잡지 휴간으로 중단되었다. 1976년 『만화 소년』에서 "망향편", "난세편", "생명편", "이형편"이 연재되었으나, 역시 잡지 휴간으로 중단되었다. 1986년에는 『야성시대』에서 "태양편"이 연재되었다.
《불새》는 "미래편"의 마지막이 "여명편"으로 이어지는 순환 구조를 띄고 있어, 작품 자체가 윤회를 반복하는 듯한 구성을 취하고 있다.
데즈카 오사무는 "자신의 사망 시각"을 현재로 상정하고 "현재편"을 죽는 순간에 1컷 정도 그리겠다고 했으나[37], 실현되지 못했다.
2. 2. 소녀편 구성
제목 | 원제 | 연재 잡지 | 비고 |
---|---|---|---|
이집트편 | エジプト編 | 소녀 클럽 | 본편 내용과 관련 없음 |
그리스편 | ギリシャ編 | 소녀 클럽 | 〈이집트편〉에서 계속 |
로마편 | ローマ編 | 소녀 클럽 | 〈그리스편〉에서 계속 |
데즈카 오사무는 《불새》를 완결하지 못하고 사망하여, 일부 작품은 구상 단계에 머무르거나 미완성으로 남았다.
3. 각 편의 줄거리
3. 1. 집필된 작품
데즈카 오사무가 만화가로 활동하던 초기부터 만년까지 그렸던 작품으로, 그의 평생의 역작이라고 불려도 손색이 없는 작품이다. 시간적 배경은 고대부터 미래까지, 공간적 배경은 지구뿐만 아니라 우주까지 아우르며, 생명의 본질과 인간의 업에 대한 주제를 데즈카 오사무 자신의 독자적 사상을 바탕으로 장대한 스케일로 그려냈다. '불새'라는 새가 등장하며, 이 불새의 피를 마시면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다는 설정을 바탕으로 주인공들은 불새와 관련되어 고뇌하고, 괴로워하고, 싸우고, 잔혹한 운명 앞에 농락당한다.
《밀림의 왕자 레오》 연재가 종료된 후 《만화 소년》에 연재한 〈여명편〉이 최초의 작품이지만, 잡지가 휴간되면서 그가 스스로 창간한 잡지 《COM》에 〈여명편〉을 다시 구상하여 연재하였다. 《COM》 이후의 연재작품은 과거, 미래, 과거, 미래를 교차하며 묘사되었고, 데즈카 오사무 본인이 사망하는 순간 작품이 완결되는 것으로 구상되었다고 한다. 실제로는 데즈카 오사무가 사망하면서 〈태양편〉으로 종결되었다. 잡지 《소녀 클럽》에 연재된 〈이집트편〉, 〈그리스편〉, 〈로마편〉도 있으나 다른 시리즈와 연관없이 3편만으로 완결된다.
일본의 많은 만화가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여러 차례 애니메이션, 영화, 라디오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제목 | 원제 | 연재 잡지 | 비고 |
---|---|---|---|
여명편 | 黎明編 | 만화 소년 (1954년 7월호 ~ 1955년 5월호) | 미완. 《COM》에 재연재. |
COM (1967년 1월호 ~ 11월호) | |||
미래편 | 未来編 | COM (1967년 12월호 ~ 1968년 9월호) | |
야마토편 | ヤマト編 | COM (1968년 9월호 ~ 1969년 2월호) | |
우주편 | 宇宙編 | COM (1969년 3월호 ~ 7월호) | |
봉황편 | 鳳凰編 | COM (1969년 8월호 ~ 1970년 9월호) | |
부활편 | 復活編 | COM (1970년 10월호 ~ 1971년 9월호) | |
날개옷편 | 羽衣編 | COM (1971년 10월호) | |
망향편 | 望郷編 | COM (1971년 12월호), COM 코믹스 (1972년 1월호) | 《망가 소년》에 재연재. |
망가 소년 (1976년 9월호 ~ 1978년 3월호) | |||
난세편 | 乱世編 | COM (1973년 8월호) | 《망가 소년》에 재연재. |
망가 소년 (1978년 4월호 ~ 1980년 7월호) | |||
생명편 | 生命編 | 망가 소년 (1980년 8월호 ~ 12월호) | |
이형편 | 異形編 | 망가 소년 (1981년 1월호 ~ 4월호) | |
태양편 | 太陽編 | 야성 시대 (1986년 1월호 ~ 1988년 2월호) | |
제목 | 원제 | 연재 잡지 | 비고 |
---|---|---|---|
이집트편 | エジプト編 | 소녀 클럽 (1956년 5월호 ~ 10월호) | 본편의 내용과 연관없음. |
그리스편 | ギリシャ編 | 소녀 클럽 (1956년 11월호 ~ 1957년 7월호) | 〈이집트편〉에서 계속. |
로마편 | ローマ編 | 소녀 클럽 (1957년 8월호 ~ 12월호) | 〈그리스편〉에서 계속. |
불새는 윤회를 다루는 만화이다. 각 이야기는 대체로 불사조(불의 새)의 피로 구현되는 불멸을 추구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데즈카 오사무가 그린 불새는 봉황과 닮았다. 이 피는 영생을 부여하는 것으로 믿어지지만, 불새에서 불멸은 얻을 수 없거나 끔찍한 저주로 묘사되며, 반면 불교식 윤회는 삶의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제시된다. 이야기는 시대를 넘나들며, 첫 번째 이야기인 "새벽"은 고대를, 두 번째 이야기인 "미래"는 먼 미래를 배경으로 한다. 이후 이야기들은 과거와 미래를 번갈아 보여주며, 데즈카 오사무는 역사적 배경과 공상과학적 배경 모두에서 자신의 주제를 탐구한다. 이야기 전체를 통해 여러 등장인물이 등장하며, 그중 일부는 데즈카 오사무의 스타 시스템 출신이다. 예를 들어 사루타라는 인물은 여러 조상과 후손의 모습으로 반복해서 등장하며, 이들은 각 시대에 혹독한 시련을 겪는다.
데즈카 오사무는 1954년에 불새의 예비 버전 작업을 시작했고, 이 시리즈는 1989년 그가 사망할 때까지 다양한 형태로 계속되었다. 이야기가 진행됨에 따라 현재 시점에 수렴되는 것처럼 보였다. 데즈카 오사무가 만화 완성 전에 사망했기 때문에, 이것이 어떻게 전개되었을지는 알 수 없다.
3. 1. 1. 여명편 (만화소년판)
漫画少年|만화소년|망가 쇼넨일본어판 여명편은 일본 신화의 이자나기와 이자나미를 모티브로 한 이야기이다.[3]주인공 나기(ナギ)는 아버지의 병 때문에 고민하고 있었다. 하늘의 ‘피의 별’이 질 때까지 아버지의 병을 고치지 못하면 마을의 관례에 따라 아버지는 마을 사람들에게 먹히게 되기 때문이다. 나기는 장로로부터 아버지의 병을 고치려면 불새의 생피가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듣고 불새를 찾아 나선다. 나기는 운 좋게 불새의 피를 얻지만, 마을로 돌아왔을 때는 이미 늦어 아버지는 마을 사람들에게 먹힌 뒤였다. 나기와 여동생 나미는 갈 곳 없는 불새의 생피를 마시게 된다. 이후 마을 주민들은 기름진 땅으로 이주하기 위해 배를 띄우지만, 폭풍으로 나기와 나미는 난파되어 알 수 없는 섬으로 떠내려 온다.
그 미지의 땅에 살던 원주민들은 불새의 피를 마시고 죽지 않는 몸이 된 나기와 나미를 신으로 받든다. 이자 나기와 이자 나미는 원주민들로부터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御神)라는 이름을 받는다. 이후 두 사람은 원주민의 지도자인 히미코(卑弥呼)를 만나게 되는데, 히미코가 동굴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에서 잡지가 휴간되어 미완으로 끝나게 된다.
3. 1. 2. 이집트편, 그리스편, 로마편
; 이집트편기원전 1000년경, 이집트의 왕자 크라브는 아버지의 명령으로 3000년의 생명을 얻게 된다는 전설의 불새 피를 찾아 여행을 떠난다. 그러나 그사이 왕위를 빼앗으려는 왕녀(크라브의 계모)는 왕과 왕자를 죽일 계획을 세운다. 여행 중 크라브는 노예 다이아를 만나는데, 다이아는 이집트군에 의해 나라가 멸망당해 노예가 된 처지였다. 크라브와 다이아는 사랑에 빠져 함께 불새를 찾지만, 불새의 알을 홍수에서 건져내고 불새의 피를 얻는 데 성공하지만, 크라브는 왕녀의 부하에게 살해되고, 충격을 받은 다이아도 자살한다.
; 그리스편
이집트편의 속편. 300년 후, 크라브와 다이아의 시신은 나일 강을 흘러 그리스 바다를 떠돌게 된다. 다이아의 시신은 트로이군의 배에, 크라브의 시신은 스파르타 해변에 떠내려온다. 불새의 피를 마신 덕에 두 사람은 각기 눈을 뜨고 스파르타 궁전에서 재회하지만, 서로를 기억하지 못한다. 그러나 왠지 모르게 서로에게 끌리며 전생에 남매였을 것이라 짐작하고 사랑에 빠진다. 결국 두 사람은 트로이와 스파르타라는 적대적인 두 국가의 운명에 휩쓸려 전쟁에 휘말리고, 트로이 목마에 다이아가 깔려 죽는다. 크라브는 슬픔에 잠겨 다이아의 시신을 안고 바다에 뛰어들어 숨을 거둔다.
; 로마편
그리스편의 속편. 바다에 뛰어든 두 사람의 시신은 율리시즈에 의해 회수되어 그리스의 보물창고에 보관된다. 300년 후, 로마의 시저가 그리스를 제압하고, 안드로클레스가 꺼낸 두 사람의 시신은 로마로 옮겨진다. 불새의 피 덕분에 다시 살아난 두 사람은 안드로클레스에게 남매로 키워진다. 평화로운 삶을 살지만, 다이아가 로마의 폭군 네보케타스에게 끌려가 강제로 아내가 되면서 비극이 시작된다. 두 사람은 저항하지만 결국 사형을 선고받는다.
3. 1. 3. 여명편 (COM판)
3세기 야마토(일본)를 배경으로, 야마타이국, 히미코, 스사노오 등 일본 신화 속 인물들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본 작품은 미완으로 끝난 「만화소년」판 여명편을 토대로 대폭 내용을 변경하여 연재되었다. 야마토 조정(大和朝廷)의 성립에 대해 정설은 아니나, 본작 집필 당시에 화제가 되고 있던 에가미 나미오의 기마민족설을 채택해 그 뒤 몇 번 수정했으며, 훗날 판에서는 주인공들을 덮친 다양한 스타일의 늑대 중에 「패밀리 컴퓨터형」이나 「아카츠카 후지오형」 등도 등장한다. 또한 일식 장면에서는 태양이 일식되는 방법이 틀려서 데즈카 본인에 의해서 단행본에서 수정하기도 하였다. TV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어린 시절의 사루타히코의 장면이 추가되어 그가 히미코에게 충성하게 된 사연을 알 수 있다.[3]
3. 1. 4. 야마토편
야마토타케루노미코토 전설을 바탕으로 한 이야기이다.[5] 320년~350년(고분시대)을 배경으로 한다. 퇴폐적인 야마토의 왕은 일본 역사의 자신만의 버전을 쓰려고 한다. 한편, "야만인" 부족인 구마소는 편향되지 않은 역사를 쓰고 있다. 야마토의 왕은 그의 막내아들 오구나를 야만인 추장 타케루를 살해하도록 보낸다. 여정에서 오구나는 불새를 만난다.등장인물 | 설명 |
---|---|
야마토 오구나/야마토타케루 | 야마토국의 왕자는 아버지인 소가 대왕으로부터 구마소국의 족장 가와카미 타케루를 죽이라는 명령을 받는다. 소수였으며, 구마소의 포로가 되어 구마소에서 생활한다. 카지카와 연인 관계가 되는 등 구마소에 익숙해지기 전에, 인연을 끊기 위해 가와카미 타케루를 여장시켜 살해한다. 그때 그에게서 "야마토타케루"라는 이름을 받는다. 토벌의 공적으로 소가 대왕 능묘 건설의 책임자가 되지만, 유원지로 개조한 것을 크게 노하여 사형을 당한다. 후에 타케루가 형에게 하니와를 권하여 순사 대신 이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구마소 체류 중에 불새에게 피리를 불어 들려주고, 마음에 들어 피를 받는다. 그리스·로마편이나 여명편 만화 소년판을 제외하면, 작중에서 불새로부터 피를 받은 유일한 인물이다. |
가와카미 타케루 (かわかみ タケル) | 구마소국의 왕으로 "여명편"에서 당시 구마소 타케루의 손자. 무용을 존중하는 구마소로서는 드물게 외교와 문화를 중시하는 지식인으로, 규슈의 여러 부족의 연합과 야마토 정권의 자기 미화를 비판하는 역사서 제작으로 침략해 올 야마토 정권에 대항하려고 했다. 왕의 여동생 카지카(소녀이면서도 단신으로 반달가슴곰을 사냥하는 전사이자 사냥꾼이다)에게 문약함을 질책받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나서면 여동생의 수련 상대 7명을 동시에 상대하여 완승하는 무술의 달인이기도 하다. 구마소 토벌 명령을 받고 야마토에서 온 오구나에게도 그 인격과 기량의 큼을 감탄받는다. 종반에 병사한 초대 타케루의 장례식 때까지 묘 앞에 남아 있던 곳을 여장한 오구나에게 찔려 치명상을 입는다. 죽어가면서, "여기서 마무리 짓고, 돌아가고 싶었다"며 사과하는 오구나를 칭찬한 후 자신의 "타케루"라는 이름을 보내고, "야마토타케루"라고 이름 짓는 것을 권하며 숨을 거둔다. 그가 기록했던 구마소사는 암살 시점에서 거의 완성(전 25권 중 마지막 권이 미완성)되어 있으며, 「봉황편」에도 등장하고 있다. |
카지카 | 가와카미 타케루의 여동생이며, 여자임에도 군사 훈련을 하는 등 남자 같은 성격이다. 오구나는 처음에는 싫어했지만, 점차 마음이 끌린다. 그러나 오빠의 죽음을 알고 복수를 맹세하며 "10년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면, 오빠의 역사에 야마토와 싸워 죽었다라고 덧붙여 줘"라고 남기고 오구나를 쫓는다. |
오구나의 형들 | 구마소 정벌에 오구나를 보내는 등 함부로 대했지만, 사형 시에는 오구나를 소가 대왕에게 사과시켜 목숨을 구걸하게 하려고 했다. 그러나 오구나의 완고함에 낙담하여, 순사 제1호로 결정한다. |
3. 1. 5. 봉황편
鳳凰編|Hō-ō-hen일본어은 1969년~1970년에 연재된 다섯 번째 이야기이다. 이 이야기는 720년~752년, 나라 시대 동대사 대불 건립 시기를 배경으로 한다.[2] 한쪽 눈과 한쪽 팔이 없는 젊은이 가오는 마을에서 쫓겨나 도적이 된다. 그는 조각가 아카네마루를 공격하고, 두 사람의 운명은 얽히게 된다. 아카네마루는 불새에 집착하여 꿈을 잊지만, 가오는 고난 속에서도 깨달음을 얻는다. 『봉황편』은 『불새』 시리즈의 걸작으로 꼽힌다.[2] 코나미가 개발한 MSX와 패미컴 게임은 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3. 1. 6. 난세편 (COM판)
乱世編|Ranse-hen일본어나무꾼 벤타와 그의 어린 시절 연인 오부에는 헤어지고 겐페이 전쟁 사건에 휘말린다. 다이라노 키요모리 등 여러 역사적 인물이 주요 등장인물 및 조연으로 등장한다.[2] 가오(『호오』)가 400세 노인으로 등장하여 『난세편』과 다른 시리즈를 연결하지만, 이 부분은 자연주의적 접근 방식을 취한다는 점에서 두드러진다. 판타지 요소는 거의 없다(12세기에 전화가 사용되는 것과 같은 코미디 효과는 제외).
3. 1. 7. 난세편
헤이안 시대 말기를 배경으로, 나무꾼 벤타와 그의 연인 오부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들은 겐페이 전쟁에 휘말리게 된다.[3]벤타와 오브는 헤어지게 되고, 다이라노 키요모리와 같은 여러 역사적 인물들이 주요 및 부차적 인물로 등장한다. 이 작품에서는 400세 노인으로 등장하는 가오(『봉황편』의 등장인물)가 『난세편』을 시리즈의 다른 부분과 연결한다.[3]
하지만 이 에피소드는 판타지 요소가 거의 없다는 점에서 다른 에피소드들과 차별성을 가진다. 12세기에 전화가 사용되는 것과 같은 코미디 효과를 위해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면, 훨씬 더 자연주의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3]
3. 1. 8. 이형편
센고쿠 시대. 주인공 사콘노스케(左近介)는 여자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부터 아버지에 의해 남자로 키워졌다. 사콘노스케의 아버지 야기 이에마사는 오닌의 난에서 세운 공적으로 이름을 떨친 잔학무도한 자였고, 사콘노스케는 그런 아버지를 증오하고 있었다. 어느 날 사콘노스케의 아버지는 코에 「비암」으로 보이는 증상을 보이며 와병하게 되고, 그것을 치료하기 위해 여승 야오비쿠니가 등장한다. 사콘노스케의 아버지는 어딘가 나이든 사콘노스케와 닮은 야오비쿠니의 모습에 놀라고, 아버지를 증오하던 사콘노스케는 치료를 막기 위해 절에 찾아가 야오비구니를 죽이고 만다. 그러나 이후 사콘노스케는 알 수 없는 힘에 막혀 절을 떠나지 못하게 되는 신세가 된다. 야오비구니에게 찾아와 치료를 부탁하는 인근 마을의 주민들과, 심지어 요괴들까지 절을 찾아오고, 뜻하지 않게 사콘노스케는 그들의 치료에 나서게 되고, 이어 무서운 인과응보가 사콘노스케에게 찾아든다.[72]본작은 일본의 오래된 야오비쿠니 전설을 모티브로 한 것이다. 잡지 게재판과 단행본의 결말이 가필되어 주요 등장인물이 마지막에 죽임을 당하는 중요한 장면은 단행본에 추가된 것이다. 그 밖에 콤마 교체나 페이지 수 조정 등 세세하게 수정된 부분이 많다. 잡지판과 초기 단행본은 치료를 위해 절을 찾아온 요괴 환자들이 우주인(불새가 다른 별에서 태어난 생물이라는 것으로 그 이유가 설명된다)으로 나오는데, 후의 판본에는 「태양편」과 서로 이어져 치료를 받으러 온 대상은 요괴에 가까운 디자인으로 고쳐진다.
NHK 아니메판에서는 유일하게 변화되지 않고 아니메화된다(NHK 아니메판은 부자관계의 상극을 중시하는 노선으로 제작되었는데 본작은 그 노선에 적합하였다).
3. 1. 9. 날개옷편
羽衣編|하고로모일본어10세기 미호노 카쓰바라에서 어부 즈쿠는 집 앞 소나무에 걸린 얇은 옷을 발견한다. 즈쿠가 옷을 가져가려 하자 옷주인인 때가 나타나고, 즈쿠는 그녀를 선녀로 생각한다. 즈쿠는 옷을 돌려주는 대신 3년간만 아내로 함께 살기로 약속한다.[69]
이 작품은 날개옷 전설을 바탕으로 하며, 연극을 객석에서 보는 듯한 시점으로 그려진다. 때의 정체는 선녀가 아닌 미래인이며, 날개옷은 미래 기술로 만든 수수께끼의 물체이다. 마지막에 혼자 남은 즈쿠는 이 물건을 수천 년 뒤를 위해 땅에 묻는다.[69]
작품 속 "방사능 영향으로 기형으로 태어난 아기를 한탄하며 죽이려는" 표현은 문제가 있어, 작가의 뜻에 따라 1980년까지 단행본화되지 않았다. (작중에는 "독의 빛을 쐬어 기형아가 태어났다"는 표현이 사용되었다.) 원래는 "망향편(COM판)"과 관련된 이야기지만, 1980년 단행본화될 때 데즈카가 모든 문장을 새로 써서 독립된 이야기가 되었다.[69]
3. 1. 10. 망향편 (COM판)
望郷編|Bōkyō-hen일본어은 1976년부터 1978년까지 『만화소년』(아사히 소노라마)에 연재된 불새의 한 에피소드이다. 이 이야기는 속임수로 지어진 사막 행성 에덴에서 문명이 흥망성쇠하는 과정과 한 소년이 조상의 행성인 지구를 찾아 우주를 탐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6]이 에피소드에는 『미래』 편에 처음 등장했던 형태 변환 외계인 "무피", 『우주』 편의 마키무라, 『부활』 편에 등장하는 치히로 로봇의 초기 모델 등 다른 SF 기반 불새 이야기의 여러 등장인물들이 카메오로 출연한다. 블랙잭도 다른 이름으로 등장한다.[6]
3. 1. 11. 망향편
望郷編|Bōkyō-hen일본어1976년부터 1978년까지 『만화소년』에 연재되었다. 사기로 건설된 사막 행성 에덴에서 문명이 흥망성쇠를 겪고, 한 소년이 조상의 행성인 지구를 찾아 우주를 탐험하는 이야기이다. 이 편에는 다른 SF 불새 이야기의 여러 등장인물들이 카메오로 출연한다. 예를 들어, 『미래』 편에 처음 등장한 변신 외계인 "무피", 『우주』 편의 마키무라, 『부활』 편의 치히로 로봇 초기 모델 등이 등장한다. 블랙잭도 다른 이름으로 등장한다.[6]

3. 1. 12. 생명편
1980년 『만화소년』에 연재된 〈생명〉 편은 TV 프로듀서가 리얼리티 TV 프로그램에 사용하기 위해 인간 복제를 구입하려다 자신이 복제된 것으로 오해받으면서 자신의 잘못을 깨닫는 이야기이다.[4] 이 에피소드는 불새가 회상에서만 등장하고, 이후 다시 등장하지 않는 반인반신 딸을 소개한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4] 내용은 최고의 사냥감과 유사한 플롯으로 구성되어 있다.[4]3. 1. 13. 우주편
1969년에 처음 연재된 네 번째 이야기이다. '우주'라고도 알려져 있다. 이 이야기는 2577년을 배경으로 하며, 네 명의 우주비행사가 파괴된 우주선에서 탈출 포드로 탈출해야 한다.[4] 생존자들은 결국 수수께끼의 행성에 추락한다. 그들 중에는 사루타가 있으며, 그는 여성 동료 나나의 마음을 놓고 마키무라와 경쟁한다. 이 이상한 행성에서 그들은 결국 불새를 만난다.3. 1. 14. 부활편
2482년~3344년을 배경으로, 로봇 기술과 과학의 시대에 젊은 레온은 자동차 사고로 죽는다. 그는 과학적 수술로 다시 살아나지만, 인공적인 뇌 때문에 인간을 포함한 생물을 왜곡된 점토 인형으로 보고 기계와 로봇을 아름다움으로 본다.[3] 레온은 아름다운 소녀로 보이는 작업 로봇 치히로와 사랑에 빠지고 이 금지된 사랑을 위해 싸운다. 부차적인 줄거리에는 이전에 『미래』에 등장했던 로봇 로비타가 등장한다.3. 1. 15. 미래편
未来編|미라이헨일본어
1967년~1968년에 처음 연재된 이야기로, 『불새』 연표에서 인류 종말에 가까운 시점에 일어나는 마지막 이야기이다. 서기 3404년, 세계는 초현대화되었지만 인류는 절정에 달했고 쇠퇴를 보이고 있다.[4] 야마노베 마사토라는 젊은이는 형태를 바꾸는 외계인 여자친구 타마미와 함께 살고 있다. 마사토의 상사인 록에게 쫓기던 그들은 고립된 기지에 있는 미친 과학자 사루타 박사에게 피신한다. 사루타 박사는 로봇 로비타의 도움을 받아 지구 생명을 보존하려 한다. 결국 핵전쟁이 발발한다.
3. 1. 16. 태양편
太陽編|Taiyō-hen일본어1986년~1988년 『야생시대』에 연재되었다. 데즈카 오사무가 사망 전 마지막으로 완성한 작품이다.[6] 7세기 백강 전투에서 백제와 왜 연합군이 패배한 후, 당나라 군인들에게 머리를 늑대 머리로 바뀐 백제 출신 젊은 병사 하리마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하리마는 일본으로 탈출하여 이누가미 봉건 영주가 되고, 초자연적인 힘 사이의 더 큰 전투에 휘말린다. 그러다 불새를 포획했다고 주장하는 신권 정치가 지배하는 황량한 미래 세계로 시간 여행을 한다.
이 장은 신화적 인물을 신격화하는 경향이 있는 이전의 역사적 불새 이야기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예를 들어, 『여명』에서는 많은 신토 신들이 단순한 인간으로 묘사되지만, 이 장에서는 다양한 신화적 생물이 보살과 싸우는 모습이 보여진다.
3. 1. 17. 휴게
원문에 '휴게' 섹션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은 작성할 수 없다. 이전 답변과 동일하다.3. 2. 집필되지 못한 작품
데즈카 오사무는 만화가로서 활동하던 초기부터 만년까지 불새를 그렸으며, 이는 그의 평생의 역작이라고 불릴 만하다. 불새는 고대부터 미래, 지구와 우주를 배경으로 생명의 본질과 인간의 업을 다루는 장대한 스케일의 작품이다. '불새'의 피를 마시면 영원한 생명을 얻는다는 설정을 바탕으로, 주인공들은 불새와 얽히며 고뇌하고, 괴로워하고, 싸우며 잔혹한 운명에 농락당한다.작품은 시간 순서대로 집필되지 않았고, 데즈카 오사무 본인이 사망하는 순간 작품이 완결되는 구상이었다고 한다. 실제로 데즈카 오사무가 사망하면서 〈태양편〉으로 종결되었다.
집필되지 못한 작품은 다음과 같다.
- '''대지편''' : 일중전쟁 당시 상하이를 배경으로, 관동군의 전의 고양을 위해 중국 대륙에 전설의 선조(仙鳥) 탐색을 계획하는 내용이다. 록, 그의 동생 마쿠베 마사토, 사루타 박사가 등장할 예정이었다. 또 다른 버전은 막말부터 메이지 유신까지를 무대로 하는 이야기였다.
- '''재생(아톰?)편''' : 철완 아톰이 등장하는 구상으로, 여러 증언이 존재한다. 오차노미즈 박사가 사루타의 후손이라는 설정과, 아톰이 불새의 한 장면이었다는 결말 등이 언급되었다.
- '''현대편''' : 데즈카 오사무는 '현대'를 '자신의 몸에서 영혼이 떠나는 때'로 해석하고, 자신이 죽는 순간을 한 컷이라도 그려 작품을 마무리하려 했다.
3. 2. 1. 대지편
乱世編|란세헨일본어겐페이 전쟁을 배경으로, 나무꾼 벤타와 그의 소꿉친구 오부의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를 다룬다.
벤타는 오슈(奥州)의 나무꾼으로, 큰 체격과 힘을 지녔다. 납치된 오부(おぶう)를 되찾기 위해 교토로 가서 요시쓰네의 부하가 되어 '''이이모리 벤타 야마이모(飯森弁太山妹)'''라는 이름을 받는다. 오부는 벤타의 소꿉친구이자 약혼자로, 매우 아름다웠으나, 후에 관리에게 납치당했다. 하지만 헤이케(平家)의 여인에게 구출된 후, 기요모리의 시녀로 바쳐진다. 결국 헤이케와 운명을 함께하게 되어 단노우라 전투에서 요시쓰네에게 살해당한다.[2]
히노에(ヒノエ)는 벤타가 요시쓰네와 함께 히라이즈미(平泉)로 도망쳤을 때 축제에서 만난 농민의 딸이다. 훔치는 버릇이 있으며, 남자와 자면 재산을 훔쳐 달아나는 버릇이 있었으나, 벤타와 약혼하게 된다.
묘운(明雲)은 교토의 고승이다. 무사와 다툰 벤타를 구하고, 그를 모델로 벤케이를 창작한다. 『조주희화』를 그리지만 세상에 이름을 내고 싶지 않아 가쿠유(覚猷)에게 저자를 넘기고, 슌칸(俊寛)에게서 사슴골의 쿠데타 계획을 듣지만 아직 때가 아니라고 반대한다. 말년의 기요모리에게는 윤회전생을 설파한다. 불새의 행방을 찾는 요시나카에게 그러한 것은 실재하지 않는다고 대답하여, 격노한 요시나카에게 살해당한다.
다이라노 기요모리는 여색을 좋아하고 미녀를 탐내며 권력을 휘두르는 독재자로 여겨졌지만, 사실은 세상의 풍파와 가문의 난폭한 행위에 시달리는 노년의 가주였다. 영원한 생명을 얻으려고 송에서 불새를 수입하려 했으나, 사실 그것은 단순한 공작이었고, 기요모리는 그것을 알아채지 못한 채 병사한다.
미나모토노 요시쓰네는 겐지(源氏)의 귀공자이다. 영웅적인 면모보다는 횡포하고 악랄한 행동을 자주 하는 인물로 묘사되며, 전쟁에서도 민가 방화, 비전투원 살상 등을 자행한다. 원래 구라마산(鞍馬山)의 구라마 텐구 밑에서 수행을 했고, 벤타를 가신으로 삼는다.
표탄가부리(ヒョウタンカブリ)는 항상 머리에 표주박을 쓰고 있는 전쟁 고아 소년이다. 요시쓰네 등과 함께 구라마 텐구 밑에서 생활하며 벤타와도 친분을 쌓는다. 장성하여 도적이 되고, 이치노타니(一ノ谷)에 출진한 요시쓰네가 민가에 불을 질러 불을 밝히려 한 것을 막지만, 그 때문에 살해당한다.
미나모토노 요리토모는 카리스마와 리더십으로 간토 무사(関東武士)를 통솔하지만, 동생 요시쓰네의 횡포에 골머리를 앓는다. 그 후, 요시쓰네가 기요모리의 불새를 얻은 것이 아닐까 의심하여 토벌령을 내린다.
기소 요시나카는 시나노(信濃)의 호족이다. 헤이케 토벌에 참전하여 교토를 제압하지만, 난폭한 성격으로 교토의 치안을 악화시킨다. 기요모리가 가지고 있던 불새를 애첩인 바 고젠에게 마시게 하려고 한다.
아카베에(赤兵衛)는 붉은 털 원숭이다. 보스 원숭이 싸움에서 패한 것을 구라마 텐구에게 구출되어, 개인 시로베에(白兵衛)와 친해지고, 협력하여 보스 자리에 다시 오른다. 그러나 원숭이들과 개들의 싸움이 벌어지고, 시로베에와 일기토 끝에 사망한다. 잡지 게재판에서는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전생으로 중반에 그려지고, 아사히·고단샤판에서는 기요모리의 내세로 종반에 그려진다. 가도카와판에서는 기요모리와의 관계에는 언급되지 않고, 서두에 그려졌다.
시로베에(白兵衛)는 흰 털 개이다. 구라마 텐구에게 길러지고, 아카베에와 친해지고, 그의 보스 원숭이 복귀에 협력한다. 그 후, 개들과 원숭이들의 싸움이 벌어지고 아카베에와 함께 사망한다. 잡지 게재판에서는 미나모토노 요시쓰네의 전생으로 중반에 그려지고, 아사히·고단샤판에서는 요시쓰네의 내세로 종반에 그려진다. 가도카와판에서는 요시쓰네와의 관계에는 언급되지 않고, 서두에 그려졌다. 잡지 게재판과 가도카와판에서는, 요시쓰네는 이 아카베에와 시로베에의 이야기를 듣고 「붉은 것은 헤이케, 흰 것은 겐지」라고 연상하여, 헤이케 토벌을 결심한다.
이 작품은 다이라노 기요모리와 같은 여러 역사적 인물이 주요, 조연으로 등장하며, 판타지 요소는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3. 2. 2. 재생(아톰?)편
復活編|Fukkatsu-hen일본어은 1970년부터 1971년까지 연재된 이야기로, 2482년부터 3344년까지를 배경으로 한다. 로봇 기술과 과학이 발전한 시대, 젊은 레온은 자동차 사고로 사망한다. 그는 과학 수술로 다시 살아나지만, 인공 뇌 때문에 인지 장애를 겪는다. 이 장애로 레온은 인간을 포함한 생물을 점토 인형처럼 보고, 기계와 로봇을 아름답게 본다.[4] 레온은 아름다운 소녀로 보이는 작업 로봇 치히로와 사랑에 빠지고, 이 금지된 사랑을 위해 싸운다. 이 이야기에는 '미래' 편에 등장했던 로봇 로비타가 부차적인 줄거리로 등장한다.[4]3. 2. 3. 현대편
데즈카 오사무는 죽기 직전까지 '현대편'을 구상하며 자신이 죽는 순간을 만화로 그리려 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4. 등장인물
불새는 시대를 초월해 여러 등장인물이 나타나는 작품으로, 주요 등장인물 외에도 각 편에만 등장하는 인물들이 있다.
주요 등장인물
인물 | 성우 (일본어) | 성우 (영어) |
---|---|---|
불새 | 다케시타 케이코 | 수잔 질라드 |
사루타 | 고무라 테쓰오 | 대니 버스타인 |
무피 | ||
로비타 | 우시야마 시게루 | |
마키무라 고로 | ||
치히로 | 고바야시 미사 | 에덴 리겔 |
야오비쿠니 | 쿠보타 타미에 | |
내레이터 | 구메 아키라 | 로버트 오고먼 |
각 편의 등장인물
새벽 | 부활 | 기묘한 생물들 | 태양 | 미래 | 에덴17 |
---|---|---|---|---|---|
4. 1. 주요 등장인물
불새(火の鳥|히노토리일본어)는 시대를 초월해 여러 등장인물이 나타난다. 주요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인물 | 성우 (일본어) | 성우 (영어) | ||||||||||
---|---|---|---|---|---|---|---|---|---|---|---|---|
불새 | 다케시타 케이코 | 수잔 질라드 | ||||||||||
사루타 | 고무라 테쓰오 | 대니 버스타인 | ||||||||||
내레이터 | 구메 아키라 | 로버트 오고먼 | ||||||||||
새벽 | ||||||||||||
나기 | 다케우치 준코 | 미셸 뉴먼 | ||||||||||
사루타히코 | 고무라 테쓰오 | |||||||||||
히미코 | 기노미야 료코 | 피오나 존스 | ||||||||||
히나쿠 | 타마가와 사키코 | 캐리 케라넨 | ||||||||||
스사노오 | 츠다 에이조 | 제임스 어바니악 | ||||||||||
구즈리 | 나카오 미치오 | 제이 스나이더 | ||||||||||
아마노 유미히코 | 테라소마 마사키 | 애디 블라우스테인 | ||||||||||
닌기 | 오츠카 아키오 | 리처드 에프카 | ||||||||||
무당 | 미야타 히카루 | |||||||||||
병사 | 아키모토 요스케 | |||||||||||
우즈메 | 나카타니 유미 | 에리카 슈뢰더 | ||||||||||
우라지 | 야라 유사쿠 | 마크 디레이슨 | ||||||||||
오지지 | 요다 에이스케 | 리처드 스프링글 | ||||||||||
오바바 | 세바타 나츠코 | |||||||||||
병사 | 마츠모토 다이 | |||||||||||
4. 1. 1. 불새인간의 지능을 초월한 초생명체로, 영원한 생명을 상징한다. 데즈카 오사무가 그린 불새는 봉황과 닮았으며, 불새의 피는 영생을 부여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불새로부터 얻은 불멸은 끔찍한 저주로 묘사되기도 하며, 불교식 윤회는 삶의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제시된다.[2] 데즈카 오사무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을 듣고 이 시리즈를 만들게 되었으며, 이반 이바노프-바노의 애니메이션 영화 꼬부랑 말(소유즈멀트필름 스튜디오)에서 화성의 새에 감명을 받아 불새의 이미지를 만들었다고 한다.4. 1. 2. 사루타큰 코를 가진 인물로, 여러 편에 걸쳐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한다. 예를 들어 사루타히코 오카미(사루타)라는 인물은 여러 조상과 후손의 모습으로 반복해서 등장하며, 이들은 각 시대에 혹독한 시련을 겪는다.[2]4. 1. 3. 무피윤회를 다루는 만화인 불새의 여러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우주 생물로, 가혹한 환경에도 적응하는 변신 능력을 가지고 있다.4. 1. 4. 로비타로비타는 인간적인 감정을 가진 로봇이다.4. 1. 5. 마키무라 고로마키무라 고로는 우주비행사로, 불새에게 영원히 사는 벌을 받았다.[2]4. 1. 6. 치히로치히로는 사무용 로봇으로, 레오나와 사랑에 빠진다.[2]4. 1. 7. 야오비쿠니八百比丘尼|야오비쿠니일본어는 여러 시대에 걸쳐 등장하는 인물이다.4. 2. 각 편의 등장인물
5. 미디어 믹스
火の鳥일본어는 여러 차례 애니메이션, 영화, 라디오 드라마 등으로 각색되었다.[37] 5. 1. 실사 영화火の鳥일본어를 원작으로 하는 1978년 영화는 이치카와 곤이 감독을 맡고, 와카야마 토미사부로, 오미 토시노리, 타카미네 미에코 등이 출연하였다.5. 2. 애니메이션 영화데즈카 오사무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을 듣고 불새 시리즈를 만들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그는 또한 이반 이바노프-바노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꼬부랑 말(소유즈멀트필름 스튜디오)에서 화성의 새에 감명을 받아 불새의 이미지를 만들었다고 말했다.[2]5. 3. TV 애니메이션2004년 NHK에서 TV 애니메이션으로 방송되었다. 방영된 에피소드는 여명편, 부활편, 이형편, 태양편, 미래편 등이다.[2]5. 4. OVAOVA로는 불새: 야마토편, 불새: 우주편 등이 있다. "우주"편은 우주선을 떠나 따로 탈출 포드에 탑승해야 하는 네 명의 우주비행사의 이야기를 들려준다. 각 인물이 페이지에 자신의 수직 또는 수평 계층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우주비행사들의 고립을 강조하는 매우 실험적인 레이아웃과 시각적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2] 인물들이 합류하고 갈라짐에 따라 계층은 결합되고 분리되며, 한 인물의 죽음 후 놀라운 장면에서 그는 여러 페이지에 걸쳐 일련의 빈 검은색 칸으로 표현된다.[2]5. 5. 무대주어진 원본 소스에 `불새 (만화)`의 `무대`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응답과 동일)5. 6. 소설주어진 원본 소스에 섹션 '소설'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작성할 내용이 없습니다.5. 7. 게임패미컴용 火の鳥 鳳凰編 我王の冒険|히노토리 봉황편 가오의 모험일본어, MSX용 火の鳥 鳳凰編|히노토리 봉황편일본어 등이 있다.6. 기타
데즈카 오사무는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음악을 듣고 이 시리즈를 만들게 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그는 또한 이반 이바노프-바노 감독의 애니메이션 영화 곱추 망아지(소유즈멀트필름 스튜디오)에서 불새에 감명을 받아 불새의 이미지를 만들었다고 말했다.[2] 참조
[1]
웹사이트
The Official Website for Phoenix
https://www.viz.com/[...]
Viz Media
2017-12-11
|